컴프리헨션과 제너레이터
파이썬에서는 컴프리헨션이라는 특별한 구문을 사용해 리스트, 딕셔너리, 집합과 같은 타입의 자료형을 이터레이션 하면서 원소를 변형해 새로운 데이터를 만들 수 있다. 컴프리헨션을 사용하면 이런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를 더욱 가독성을 높여 작성할 수 있다.
컴프리헨션 코딩 스타일은 제너레이터를 사용하는 함수로 확장할 수 있다. 이터레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곳(for 루프, 별표 식 등)이라면 어디서나 제너레이터 함수를 호출한 결과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너레이터를 사용하면 성능을 향상시키고, 메모리 사용을 줄이고, 가독성을 높일 수 있다.
Better Way 27: map과 filter 대신 컴프리헨션을 사용하라
# 1번째 방법
a = [1, 2, 3, 4, 5, 6, 7]
squares = []
for i in a:
squares.append(i ** 2)
print(squares)
------------------------------
[1, 4, 9, 16, 25, 36, 49]
# 2번째 방법
squares = list(map(lambda x: x ** 2, a))
print(squares)
------------------------------
[1, 4, 9, 16, 25, 36, 49]
# 3번째 방법
squares = [i ** 2 for i in a]
print(squares)
------------------------------
[1, 4, 9, 16, 25, 36, 49]
여기까지 봤을 때는, map을 사용해도 가독성이 괜찮아 보인다. 하지만 조건이 조금 더 까다로워지면 컴프리헨션이 빛을 발한다.
짝수만 제곱하는 리스트를 만들고 싶을때를 살펴보자.
a = [1, 2, 3, 4, 5, 6, 7]
even_squares = map(lambda x: x**2, filter(lambda x: x % 2 == 0, a))
even_squares = [x**2 for x in a if x % 2 == 0]
리스트 뿐 아니라 딕셔너리와 집합에도 컴프리헨션이 있다.
a = ['apple', 'banana', 'lemon']
b = [1, 5, 3]
dic = {key: value for key, value in zip(a, b)}
print(dic)
---------------------------------------------
{'apple': 1, 'banana': 5, 'lemon': 3}
참고로 2차원 배열 리스트를 플랫한 단일 리스트로 만들고 싶을 때 리스트 컴프리헨션을 사용할 수 있다.
matrix = [[1, 2, 3], [4, 5, 6], [7, 8, 9]]
flat = [x for row in matrix for x in row]
print(flat)
Better Way 29: 대입식(왈러스 연산자)을 사용해 컴프리헨션 안에서 반복 작업을 피하라
stock = {'못': 125, '나사못': 35, '나비너트': 8, '와셔': 24}
order = ['나사못', '나비너트', '클립']
def get_batches(count, size):
return count // size
# 기본적인 방법
found = {name: get_batches(stock.get(name, 0), 8) for name in order if get_batches(stock.get(name, 0), 8)}
# 왈러스 연산자 이용했을 때
found = {name: batches for name in order if (batches := get_batches(stock.get(name, 0), 8))}
Better Way 30: 리스트를 반환하기보다는 제너레이터를 사용하라
많은 데이터의 양을 처리할 때 처리한 데이터를 리스트에 한 번에 다 저장하면 메모리 사용량이 크게 증가한다. 꼭 저장할 필요가 없다면 제너레이터를 사용함으로써 개선할 수 있다. 제너레이터는 yield식을 사용하는 함수에 의해 만들어진다.
제너레이터 함수가 호출되면 제너레이터가 실제로 실행되지 않고, 즉시 이터레이터를 반환한다.
이터레이터는 next() 메소드가 호출될 때마다 제너레이터 함수를 다음 yield 식까지 진행시킨다. yield에서 반환된 값은 호출된 쪽으로 전달된다. (type은 확인해보면 제너레이터다. 이터레이터를 반환한다고 해서 type이 이터레이터일꺼라 생각했는데..)
import sys
def index_words(text):
if text:
yield 0
for index, letter in enumerate(text, 1):
if letter == ' ':
yield index
address = '컴퓨터(영어: Computer, 문화어: 콤퓨터, 순화어: 전산기)는 진공관'
it = index_words(address)
print(f'type: {type(it)}')
print(f'generator size: {sys.getsizeof(it)}')
list1 = list(it)
print(list1)
print(f'list size: {sys.getsizeof(list1)}')
------------------------------------------------------------------------
type: <class 'generator'>
generator size: 112
[0, 8, 18, 23, 28, 33, 39]
list size: 152
next() 내장함수가 사용되면 이터레이터의 매직메소드인 next() 메소드가 호출되며, 제너레이터가 yield에서 반환한 값을 받아온다
while True:
try:
print(next(it))
except StopIteration:
break
----------------------------------------
0
8
18
23
28
33
39
이터레이터는 반환할 수 있는 데이터를 모두 소진하고 나면 StopIteration 예외가 발생한다. 그 후 다시 이터레이터를 for루프, 리스트 생성자를 포함한 표준라이브러리에 있는 많은 함수가 이터레이션 시켜도 StopIteration이 일어나지 않는다. (다만 , next()로 직접 호출하는 거는 StopIteration 예외 발생) 이거는 개발자의 편의(?)를 위해 for문과 같은 반복문을 예외없이 알아서 종료시키도록 하기 위해 그런 것 같다.
참고로 이터레이터를 리스트로 만들고 싶으면 다음과 같이 코드를 작성하면 된다.
# 이터레이터 생성
it = index_words(address)
# 리스트로 변환
list(it)
Better Way 31: 인자에 대해 이터레이션 할 때는 방어적이 돼라
앞에서 이터레이터는 한 번 데이터를 소진하고 나면 더 이상 다시 데이터를 받아오지 않는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1) 이터레이터가 호출되고 데이터를 모두 소진하고 하면 다시 이터레이터를 호출하도록 만든다.
def read_visits(data_path):
with open(data_path, 'r') as f:
for line in f:
yield int(line)
def normalize_func(get_iter):
# 제너레이터 함수 호출 통한 새로운 이터레이션 생성
# sum()같은 함수도 사용되고 나면 이터레이션 모두 소진함
total = sum(get_iter())
result = []
# 제너레이터 함수 호출 통한 새로운 이터레이션 생성
for value in get_iter():
percent = 100 * value / total
result.append(percent)
return result
# travel_data.csv는 그냥 숫자값 쭉 있는 csv파일
path = 'travel_data.csv'
# normalize_func()안에 그냥 read_visits()를 넣으면 이터레이터가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그냥 값이 반환됨
# 내 목적은 제너레이터 자체가 get_iter로 들어가길 원한다
# 그러면 get_iter() 식을 통해 이터레이터가 만들어질 것이다
# 따라서 read_visits(path) 자체가 입력으로 들어가도록 하기위해 lambda식을 써준다
percentages = normalize_func(lambda: read_visits(path))
print((percentages))
-------------------------------------------------------------------
[0.0124, 0.0285, 0.03829, 0.0106, 0.0311, 0.0596,...]
2) 이터레이터 프로토콜을 구현한 새로운 컨테이너 클래스를 제공
조금 더 고수들은 람다 식이 보기 좋지 않아 제너레이터를 클래스로 만든다
class ReadVisits:
def __init__(self, data_path):
self.data_path = data_path
def __iter__(self):
with open(self.data_path) as f:
for line in f:
yield int(line)
def normalize(numbers):
total = sum(numbers)
result = []
for value in numbers:
percent = 100 * value / total
result.append(percent)
return result
visits = ReadVisits(path)
percentages = normalize(visits)
print(percentages)
-------------------------------------------------------------------
[0.0124, 0.0285, 0.03829, 0.0106, 0.0311, 0.0596,...]
이제 여기서 제목과 같이 방어적이 돼라는 의미가 등장한다. 첫 번째 방법에서와 두 번쨰 방법에서 numbers를 인자로 받는 방법이 다르다. 우리는 여기서 이터레이터 자체를 받아오지 않고 매번 새로운 이터레이터 객체를 반환하는 컨테이너를 제공하도록 해줄 것이다.
from collections.abc import Iterator
def normalize_defensive(numbers):
if isinstance(numbers, Iterator):
raise TpyeError('컨테이너를 제공해야 합니다')
total = sum(numbers)
result = []
for value in numbers:
percent = 100 * value / total
result.append(percent)
return result
Better Way 36: 이터레이터나 제너레이터를 다룰 때는 itertools를 사용하라
1) 여러 이터레이터 연결하기
it = itertools.chain([1, 2, 3], [4, 5, 6])
print(list(it))
------------------------------------
[1, 2, 3, 4, 5, 6]
it = itertools.repeat('안녕', 3)
print(list(it))
-----------------------------
['안녕', '안녕', '안녕']
it = itertools.cycle([1, 2, 3])
result = [next(it) for _ in range(10)]
print(result)
------------------------------------
[1, 2, 3, 1, 2, 3, 1, 2, 3, 1]
it1, it2, it3 = itertools.tee(['하나', '둘'], 3)
print(list(it1))
print(list(it2))
print(list(it3))
-----------------------------
['하나', '둘']
['하나', '둘']
['하나', '둘']
keys = ['하나', '둘', '셋']
values = [1, 2]
it = itertools.zip_longest(keys, values, fillvalue='없음')
longest = list(it)
print('zip_longest:', longest)
-------------------------------------------
[('하나', 1), ('둘', 2), ('셋', '없음')]
2) 이터레이터에서 원소 거르기
values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list1 = values[1::2]
iter1 = islice(values, 1, sys.maxsize, 2)
print(f'size_of_list: {sys.getsizeof(list1)}bytes')
print(f'size_of_iter: {sys.getsizeof(iter1)}bytes')
-----------------------------------------------------------
size_of_list: 112bytes
size_of_iter: 72bytes
values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less_than_seven = lambda x: x < 7
it = itertools.takewhile(less_than_seven, values)
print(list(it))
-------------------------------------------------------
[1, 2, 3, 4, 5, 6]
3) 이터레이터에서 원소의 조합 만들어내기
values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sum_reduce = itertools.accumulate(values)
print('합계: ', list(sum_reduce))
합계: [1, 3, 6, 10, 15, 21, 28, 36, 45, 55, 66, 78, 91, 105, 120]
# 인자로 함수를 넘겨줄 수도 있다. 이 때 함수는 2개의 값을 인자로 받아 하나의 값을 리턴해야 한다.
def sum_modulo_20(first, second):
output = first + second
return output % 20
modulo_reduce = itertools.accumulate(values, sum_modulo_20)
print('20으로 나눈 나머지의 합계: ', list(modulo_reduce))
-----------------------------------------------------------------------
20으로 나눈 나머지의 합계: [1, 3, 6, 10, 15, 1, 8, 16, 5, 15, 6, 18, 11, 5, 0]
it = itertools.permutations([1, 2, 3, 4], 2)
print(list(it))
------------------------------------------------------------------------------
[(1, 2), (1, 3), (1, 4), (2, 1), (2, 3), (2, 4), (3, 1), (3, 2), (3, 4), (4, 1), (4, 2), (4, 3)]
it = itertools.combinations([1, 2, 3, 4], 2)
print(list(it))
------------------------------------------------------------------------------------
[(1, 2), (1, 3), (1, 4), (2, 3), (2, 4), (3, 4)]
# 중복조합
it = itertools.combinations_with_replacement([1, 2, 3, 4], 2)
print(list(it))
----------------------------------------------------------------------------
[(1, 1), (1, 2), (1, 3), (1, 4), (2, 2), (2, 3), (2, 4), (3, 3), (3, 4), (4, 4)]
🔔 for문에 관한 좋은 설명
이터레이터 프로토콜은 파이썬의 for루프나 그와 연관된 식들이 컨테이너 타입의 내용을 방문할 떄 사용하는 절차다.
파이썬에서 for x in foo와 같은 구문을 사용하면, 실제로는 iter(foo)를 호출한다.
iter내장 함수는 foo.__iter__라는 특별 메소드를 호출한다.
__iter__메소드는 이터레이터 객체를 반환하고,
이터레이터 객체가 데이터를 소진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이터레이터 객체에 대해 next 내장 함수를 호출한다.
이 밖에도 좋은 내용들이 많은데 아직 다 이해가 되지 않아 여기까지만 정리 하도록 하겠습니다.